퇴사와 이직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얼마 전, 입사 1년 정도 된 직원이 퇴사를 했습니다. 당시, 병가 중이어서 퇴사자 면담을 못했기에 퇴사 사유를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회사 복귀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서 퇴사 사유와 퇴사 후 계획을 늦게 나마 전해 들었습니다. ‘우선 쉬고나서 이직은 그 후에 고민하겠다’ 했답니다. 이전에도 자주 들었던 내용입니다. ‘젊으니까…’,’경력도 있으니 이직이 쉽겠지’란 생각으로 퇴사를 합니다. 하지만 인생이란 것이 본인의 계획대로 흘러 갈 때 보다는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전개하는 경우가 더 빈번하지요. 아무런 계획 없이 퇴사하는 것을 단순히 젊음의 특권으로 생각하기 보다는 슬기롭게 퇴사와 이직을 준비하면 좋지 않을까요?
명확한 목표와 계획
“퇴사 후 (그냥) 쉬겠다.”가 당장의 목표일 수 있습니다. 담당하던 업무량 때문에 나빠진 건강을 회복하기 위해 재충전 기간을 가지는 것이 꼭 필요할 수 있습니다. ‘쉼’에도 목표와 계획이 필요합니다. 정신적 또는 육체적 건강 회복이 목표라면 건강 회복을 위한 체계적,실천적 계획도 함께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목표나 구체적인 계획 없이 ‘그저 쉰다’는 것은 소중한 시간을 낭비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저도 그저 퇴사해 봐서 압니다. 그것도 IMF 라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막 시작하던 때에 말이죠. 퇴사자 면담할 때, 제가 퇴사를 재고 권장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바로 아무런 목표나 계획이 없이 퇴사하겠다고 하는 경우입니다. 퇴사자가 퇴사 사유를 사실대로 밝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개인 선택은 소중하고 존중 받아야 하고, 모든 선택에는 결과가 따라오는 법입니다. 가끔 결과가 어떨지 망각하거나 일부러 회피하는 것 같습니다. ‘무계획 퇴사’가 가져올 결과에 대해서도 반드시 숙고하기 바랍니다.
Plan B
퇴사 전에 이직을 확정한 상태가 아니라면 “Plan B”를 준비해야 합니다. 어떤 젊은이는 대기업 퇴직 후, 해외 여행 다녀오고 나서는 6년간 공무원 준비를 했다고 합니다. 공무원 시험에 실패해서 현재는 크리에이터와 친구 회사 업무를 병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6년 동안 대기업 동기들은 결혼해서 가정도 꾸미고, 더 많은 급여를 받게 되었다며 자신은 시간을 낭비했다고 자책합니다. 목표로 했던 공무원 시험을 통과하지 못했다고 해서 “공무원 준비 기간=인생 낭비”는 아닙니다. 안타까운 것은 6년이란 시간을 ‘낭비’ 했다고 본인 스스로 평가해 버렸다는 겁니다. 이처럼 퇴사할 때 가졌던 목표 달성을 못할 때를 대비한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좋습니다. 퇴사할 때 6년이란 시간을 보낼 것을 예측하지 못했겠지만 1~2년 시도해 보고서 목표 달성이 어렵다 생각하고 바로 목표를 수정했었다면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자책 대신 성찰
누구나 살다 보면 잘못된 선택을 하기도 하고 원래의 삶으로 회복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자신과 비슷했다고 생각했던 사람들이 지금의 나보다 나은 환경에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자신을 그들과 비교하고 자책하지 마십시오. 시간은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주어져 있습니다.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을 어떻게 보냈는지가 현재의 나를 만듭니다. 또한 지금 어떤 시간을 보내는지에 따라 미래 또한 달라집니다. 과거의 선택을 자책하는 대신에 성찰을 합시다. 과거의 선택을 성찰해 봄으로써 현재에 미래를 위한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을 겁니다. 성찰은 반성이 아닙니다. 과거의 사실을 객관적으로 있는 그대로 살핌으로써 언제 닥칠지 모르는 유사한 선택에서 과거의 선택보다 나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사진: Unsplash의Hunters Race>











![명상을 하면 성인[Saint,聖人]이 되는가?](https://www.boolsee.pe.kr/wp-content/uploads/2018/05/OB827G0_900x600-218x150.jpg)






